반응형 우리말 우리글18 [띄어쓰기] 그중 VS 그 중(연습문제 포함!) 그중 / 그 중, 어느 것이 맞는 표현일까요?"그중/ 그 중에 제일은 사랑이라." 생각보다 많은 분들이 틀리는 띄어쓰기입니다. 그중이라고 붙여 쓰는 게 맞을까요, 아니면 그 중이라고 띄어 쓰는 게 맞을까요? 범위가 정해진 여럿 가운데.출처: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올바른 표현은? 그중⭕그 중❌ 올바른 표현은 바로, '그중'입니다. "그중 / 그 중에 제일은 사랑이라." 그럼 '그 중'이라고 띄어서 쓰면 틀린 표현이 되나요? 네. 일반적으로는 틀린 표현입니다. 범위가 정해진 여럿 가운데라는 뜻으로 사용하고자 하면 반드시 '그중'이라고 붙여서 써야 합니다.'그중'은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 등재된 합성어로, 띄어 쓸 수 없는 하나의 단어이기 때문입니다. '그 중'으로 띄어 써야 하는 .. 2025. 4. 20. [맞춤법] 설거지 VS 설겆이 설거지 / 설겆이, 어느 것이 맞는 표현일까요?"오늘은 네가 설거지 / 설겆이 좀 해!"일상에서 정말 자주 사용하는 단어이지만 막상 글로 쓰려면 멈칫, 망설이게 되는 단어입니다. 무엇이 맞춤법에 맞을까요? 먹고 난 뒤의 그릇을 씻어 정리하는 일.출처: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올바른 표현은? 설거지⭕설겆이❌ 올바른 표현은 바로, '설거지'입니다. "오늘은 네가 설거지 / 설겆이 좀 해!" 그럼 '설겆이'는 틀린 표현인가요? 네. 지금은 틀린 표현입니다.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 나와 있는 설명을 살펴봅시다. ‘설겆이’는 비표준어이고 ‘설거지’가 표준어이다. 이는 사어(死語)가 되어 쓰이지 않게 된 단어는 고어로 처리하고, 현재 널리 사용되는 단어를 표준어로 삼는다는 규정(표준어 사정 .. 2025. 3. 7. [맞춤법] 들어나다 VS 드러나다 들어나다 / 드러나다, 어느 것이 맞는 표현일까요? "다행히 큰 문제는 아닌 것으로 드러났다 / 들어났다."와 같이, 알려지지 않았던 사실 등이 알려지게 되었을 때 쓰는 표현인 "들어나다/드러나다". 글로 쓸 때는 맞춤법을 어떻게 따라야 할까요? 올바른 표현은? 드러나다 ⭕ 들어나다❌ 올바른 표현은 바로 '드러나다'입니다. '들어나다'는 존재하지 않으며 틀린 표현입니다. "다행히 큰 문제는 아닌 것으로 드러났다 / 들어났다." '드러나다'는 '들-'에 연결 어미 '-어'가 붙은 '들어', 여기에 '나-'가 결합하여 만들어진 것으로, 본뜻에서 멀어진 단어로 원형을 밝혀 적지 않는 경우입니다. 즉, 한 단어로 봅니다. 한 단어일 때에는 띄어 쓰지 않는 것이 원칙입니다. 표준국어대사전에 한 단어로 등재되어 있.. 2023. 3. 15. [맞춤법] 몇일 VS 며칠 몇일 / 며칠, 어느 것이 맞는 표현일까요? "오늘 몇일 / 며칠이야?" 날짜를 물을 때 쓰는 말인 몇일/며칠. 맞춤법에 맞게 쓰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먼저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그달의 몇째 되는 날. 출처: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올바른 표현은? 며칠⭕ 몇일❌ 올바른 표현은 바로, '며칠'입니다. "오늘 몇일 / 며칠이야?" 그럼 '몇일'은 없는 말인가요? 네. 없는 말입니다. 국립국어원의 답변을 살펴봅시다. [답변] 맞춤법 답변자 온라인 가나다 답변일 2021. 11. 1. 안녕하십니까? '며칠'로 표기하는 것이 바르며 '몇 일'로 표기하는 경우는 없습니다. '몇 일'이라고 하면 [며딜]로 소리가 나야 하는데 실제 발음은 [며칠]이라서 '몇일'로 적으면 표준어 [며칠]을 나타낼 수 없습니다... 2023. 2. 28. [맞춤법] 어떻게 VS 어떻해 VS 어떡해 어떻게 / 어떻해 / 어떡해, 어느 것이 맞는 표현일까요? "큰일 났다. 어떻게 / 어떻해 하면 좋지?"와 같은 표현에서, 어떤 것이 맞춤법에 맞는 표현일까요? 그리고 "어떻해 / 어떡해. 큰일 났어."에서는요? 올바른 표현은? 어떻게 ⭕ 어떻해 ❌ 어떡해 ⭕ 올바른 표현은 바로 각각 '어떻게'와 '어떡해'입니다. 어느 경우든 '어떻해'는 존재하지 않으며 틀린 표현입니다. "큰일 났다. 어떻게 / 어떻해 하면 좋지?" "어떻해 / 어떡해. 큰일 났어." '어떻게'는 형용사 '어떻다'의 부사형입니다. '어떻다'는 본말 '어떠하다'의 변형입니다.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을 확인해 봅시다. 어떻다 발음[어떠타] 「형용사」 의견, 성질, 형편, 상태 따위가 어찌 되어 있다. ≒약하하다, 여하하다, 하여하다. 요.. 2023. 2. 27. [맞춤법] 로서 VS 로써 | 상황에 맞는 사용법 완벽정리(연습문제 포함!) 로서 / 로써, 어느 상황에 어느 표현을 써야 할까요? "대한민국 (국민으로서/국민으로써) 한 말씀해 주시죠.""(오늘로서/오늘로써) 전 회사 그만두겠습니다." 분명 '로서'와 '로써' 둘 다 있는 표현이고, 상황에 맞는 사용법이 제각기 다른 것으로 기억합니다. 그러나 막상 글로 써서 표현하려니 무엇이 맞는 것인지 헛갈리고 자신이 없습니다. 오늘 이 글을 통해 알아보고 이 글의 맨 아래에서 연습문제를 통해 점검해 봅시다. 올바른 표현은? 올바른 표현은 바로 다음과 같습니다. "대한민국 (국민으로서/국민으로써) 한 말씀해 주시죠." "(오늘로서/오늘로써) 전 회사 그만두겠습니다."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을 확인해 봅시다. 로서 「조사」로써「조사」((받침 없는 체언이나 ‘ㄹ’ 받침으로 끝나는 체언 뒤에.. 2023. 1. 29. [맞춤법] 왠만하면 VS 웬만하면(연습문제 포함!) 왠만하면 / 웬만하면, 어느 것이 맞는 표현일까요?"왠만하면 / 웬만하면 네가 좀 해."와 같이, 일상에서 자주 쓰는 표현인데 글로 적으려니 비슷한 소리가 나는 두 말 중 어떤 말을 써야 하는지 맞춤법이 헛갈립니다.다음과 같은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정도나 형편이 표준에 가깝거나 그보다 약간 낫다.혹은허용되는 범위에서 크게 벗어나지 아니한 상태에 있다. [출처: 표준국어대사전]쉽게 말해 '보통 언저리'인 정도를 뜻하는 말이지요. 올바른 표현은? 웬만하면 ⭕왠만하면 ❌ 올바른 표현은 바로, '웬만하면 '입니다. '왠만하면'은 존재하지 않으며 틀린 표현입니다. "왠만하면 / 웬만하면 네가 좀 해." '웬만하면'은 '웬만하다'라는 말을 활용한 말입니다. '웬만하다'의 본말은 '우연만 하다'인데요,.. 2023. 1. 19. [맞춤법] 거에요 VS 거예요 거에요 / 거예요, 어느 것이 맞는 표현일까요?"저 이제 그만 둘 거에요 / 거예요." '-할 것이다'를 존댓말로 할 때 쓰는 표현입니다. 카카오톡으로 채팅할 때에도 많이 쓰게 되는데요, 이 표현을 글로 쓸 때 잘못된 표현을 쓰는 경우가 굉장히 많습니다. 올바른 표현은? 거예요⭕거에요❌ 올바른 표현은 바로, '거예요'입니다. "저 이제 그만 둘 거에요 / 거예요." 그럼 '거에요'라는 말은 없나요?네. 없습니다. '거예요'라는 말의 구성을 살펴 봅시다. 거예요 = '거' +'이-' + '-에요' = '거+이에요' 즉, '이에'가 '예'로 줄어든 것입니다. 그러니 '거에요'라는 표현은 '이-'를 빼뜨리고 말하는 것과 다름 없으므로 틀린 표현인 것입니다. .. 2023. 1. 8. 이전 1 2 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