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말 우리글

[띄어쓰기] 할까봐 VS 할까 봐, 해보다 VS 해 보다

by ( •̀ ω •́ )✧... 2022. 12. 9.
반응형

"할까봐" 어떻게 띄어 쓰나요?

"실패(할까봐 / 할까 봐) 걱정 돼." 와 같이, "-ㄹ까봐"는 띄어쓰기를 어떻게 해야할까요? 일상 생활에서 자주 사용하는 표현인데 막상 글로 적으려니 띄어쓰기가 헛갈립니다.





올바른 표현은?

할까 봐 ⭕

할까봐 ❌


올바른 표현은 바로, '할까 봐'입니다.
"실패(할까봐 / 할까 봐) 걱정 돼." 와 같이 사용합니다.






""는 보조 형용사 "보다"의 변형인 "보아"의 준말입니다.
보조형용사는 띄어쓰기 규칙에 따라 앞말과 띄어 씁니다.

보조형용사
  • 1.
    ((동사나 형용사, ‘이다 뒤에서 ‘-은가/는가/ 보다 구성으로 쓰여)) 앞말이 뜻하는 행동이나 상태를 추측하거나 어렴풋이 인식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
    식구들이 모두 집에 돌아왔나 보다.
  • 2.
    ((동사 뒤에서 ‘-을까 보다 구성으로 쓰여)) 앞말이 뜻하는 행동을  의도를 가지고 있음을 나타내는 .
    외국으로 떠나 버릴까 보다.
  • 3.
    ((동사나 형용사, ‘이다 뒤에서 ‘-을까 ’, ‘-을까 봐서 구성으로 쓰여)) 앞말이 뜻하는 상황이   같아 걱정하거나 두려워함을 나타내는 .
    야단맞을까 얘기도  꺼냈어.
  • 4.
    ((형용사나 이다 뒤에서 ‘- 보니’, ‘- 보니 구성으로 쓰여)) 앞말이 뜻하는 상황이나 상태가 다른 것보다 우선임을 나타내는 .
    무엇보다 건강하고 일이다.
  • 5.
    ((형용사나 이다 뒤에서 ‘- 보니’, ‘- 보니 구성으로 쓰여)) 앞말이 뜻하는 상태가 뒷말의 이유나 원인이 됨을 나타내는 .
    돌이 워낙 무겁다 보니 혼자서  수가 없었다.
출처: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search/searchView.do?word_no=149229&searchKeywordTo=3)

[예문]

연락이 올까 봐 휴대폰을 끌 수가 없다.
나 또 니가 헛소리할까 봐 걱정된다.
자칫 잘못하면 부러뜨릴까 봐 시도도 못 해봤어.
나도 이제 운동 좀 해볼까 봐.





주의!

보다 「조사」
((체언 뒤에 붙어))
서로 차이가 있는 것을 비교하는 경우, 비교의 대상이 되는 말에 붙어 ‘~에 비해서’의 뜻을 나타내는 격 조사.
  • 내가 너보다 크다.
  • 그는 누구보다도 걸음이 빠르다.
그는 나보다 두 살 위이다.
출처: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search/searchView.do?word_no=432943&searchKeywordTo=3)

비교할 때 쓰는 말인 조사인 “보다”는 앞말에  붙여 써야 합니다.


[예문]

문자를 보내기보다 먼저 전화를 걸면 어떨까?
보다 내가 더 잘 해.

외우는 방법

“보다”의 띄어쓰기가 헛갈릴 땐? "보아(봐)"가 들어가는 말로 바꾸어 썼을 때 말이 되면 띄어 쓰고, 말이 안 되면 붙여 쓰면 됩니다.

확 다 말해 버릴까보다. => 확 다 말해 버릴까 봐(보아).⭕ 띄어 쓰기! (버릴까 보다)

나도 이제 운동 좀 해볼까보다. => 나도 이제 운동 좀 해볼까 봐(보아).⭕ 띄어 쓰기! (해볼까 보다)

문자를 보내기보다 먼저 전화를 걸면 어떨까? => 문자를 보내기보아 먼저 전화를 걸면 어떨까?❌ 붙여 쓰기!

보다 내가 더 잘 해. => 너보아 내가 더 잘 해.❌ 붙여 쓰기!


아시아의 별이라고 불린 보아, 그룹이 아닌 솔로로 활동하는 가수죠? 그러니 당당히 홀로 서 있는 보아처럼 "보아"라는 말 또한 홀로 서 있다고 외우면 됩니다.

출처: Wikimedia



[퀴즈]

1. 쟤 (미쳤나봐 / 미쳤나 봐).
2. (무엇보다 / 무엇 보다) 중요한 건 꺾이지 않는 마음.
3. 이젠 나도 공부 좀 (할까봐 / 할까 봐)
4. (너보다 / 너 보다) 내가 더 많이 걱정하고 있어.
5. 확 나가 (버릴까봐 / 버릴까 봐)

[퀴즈 정답] (아래 '더보기' 클릭)

더보기

1. 쟤 (미쳤나봐 / 미쳤나 봐).

2. (무엇보다 / 무엇 보다) 중요한 건 꺾이지 않는 마음.

3. 이젠 나도 공부 좀 (할까봐 / 할까 봐)

4. (너보다 / 너 보다) 내가 더 많이 걱정하고 있어.

5. 확 나가 (버릴까봐 / 버릴까 봐)

해설: 1, 3, 5번은 앞말과 띄어 쓰는 보조 형용사 '보다'이고, 2, 4번은 앞말과 붙여 쓰는 조사 "보다"이다.

Tip: "보아"가 들어가는 말로 바꾸어 보세요!



같이 보면 좋은 글

[띄어쓰기] 할수 있다 VS 할 수 있다 VS 할 수있다

'할수있다' 어떻게 띄어 쓰나요? 한글은 쉽지만, 한국어는 절대 쉽지 않습니다. 특히 띄어쓰기를 올바르게 하지 않으면 의미 전달에 문제가 생기기도 합니다. 오늘은 '할수있다'의 올바른 띄어쓰

nari.titirang.com

[띄어쓰기] 할지말지 VS 할지 말지 VS 할 지 말 지

'할지말지' 어떻게 띄어 쓰나요? 어떤 행동을 할 것인지 아직 결정하지 못했을 때 자주 사용하는 표현입니다. 말로 할 때에는 문제가 되지 않지만 글로 이 표현을 쓰려면 띄어쓰기가 헛갈립니다.

nari.titirang.com

[맞춤법] 어의없다 VS 어이없다

어의없다 / 어이없다, 어느 것이 맞는 표현일까요? 어의없다 혹은 어이없다. 일상에서 자주 쓰는 표현입니다. 다음과 같은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일이 너무 뜻밖이어서 기가 막히는 듯하다." [

nari.titirang.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