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말 우리글

[맞춤법] 어의없다 VS 어이없다

by ( •̀ ω •́ )✧... 2022. 12. 6.
반응형

어의없다 / 어이없다, 어느 것이 맞는 표현일까요?

어의없다 혹은 어이없다. 일상에서 자주 쓰는 표현입니다. 다음과 같은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일이 너무 뜻밖이어서 기가 막히는 듯하다."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선택 항목 어휘, 구성단위, 고유어 여부, 원어, 어원, 주표제어, 부표제어, 발음, 활용, 검색용 이형태, 품사, 공통 문형, 의미 문형, 공통 문법, 의미 문법, 뜻풀이, 용례, 범주, 전문 분야, 속담, 관

stdict.korean.go.kr

 

올바른 표현은?

 

어이없다 ⭕

어의없다 ❌

 

올바른 표현은 바로, '어이없다'입니다. 동의어는 '어처구니없다'입니다. '어이없다''어처구니없다' 둘 다 표준어로 삼습니다. 유의어로는 '기막히다'가 있습니다. 

 

띄어쓰기는 하지 않습니다.

 

단 주격 조사 '-가'를 사용할 경우에는 '어이 없다', '어처구니 없다'와 같이 띄어 씁니다.

 

 

 

 

 

 

 

 

 

 

외우는 방법

 

생각 외로 많은 분들이 '어의없다'라고 잘못 사용합니다. 인터넷에는 맞춤법 파괴 레전드 밈(meme)에도 이 잘못된 표현이 들어있을 정도입니다. 

고구마 100개 먹은 듯 답답하다

 

 

헛갈리시는 분들을 위한 암기 팁! "어이없다"라는 표현으로 유명한 영화 베테랑 조태오(유아인 분)의 대사를 떠올려 보세요. 영화 속 조태오라는 캐릭터는 성격이 어떤가요? 상당히 무례하고 다른 이를 함부로 대합니다. 

 

조태오가 다른 사람을 부를 때 어떻게 부를까요? 정중하고 조심스럽게 "저기요..."라고 할까요? 아니겠죠!

 

"어이!" 이렇게 무례하게 부르겠죠? 그래서 "어이가 없네", "어이없어" 라고 연상해서 암기할 수 있답니다!

 

 

참고로 '어의'는 '궁궐 내에서, 임금이나 왕족의 병을 치료하던 의원.'을 의미합니다.

출처: 위키백과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ko/7/7b/%ED%97%88%EC%A4%80.JPG)

[예문]

어이없게도 나한테 전화 했다니까?

웃는 낯을 하고서는 뻔뻔하게 거짓말을 해대니 참으로 어이가 없는 노릇이었다.

어이없는 자책골을 넣었다.

 

 

같이 보면 좋은 글

 

 

[맞춤법] 단출하다 VS 단촐하다

단출 / 단촐, 어느 것이 맞는 표현일까요? 단출하다, 혹은 단촐하다. 일상에서 자주 쓰는 표현입니다. 다음과 같은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식구나 구성원이 많지 않아 홀가분하다." "일이나 차림

nari.titirang.com

 

[띄어쓰기] 할수 있다 VS 할 수 있다 VS 할 수있다

'할수있다' 어떻게 띄어 쓰나요? 한글은 쉽지만, 한국어는 절대 쉽지 않습니다. 특히 띄어쓰기를 올바르게 하지 않으면 의미 전달에 문제가 생기기도 합니다. 오늘은 '할수있다'의 올바른 띄어쓰

nari.titirang.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