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니오 / 아니요, 어느 것이 맞는 표현일까요?
아니오 혹은 아니요. 두 표현 모두 맞춤법에 어긋나지 않은 표현입니다. '오'와 '요' 한 글자 차이로 용례가 다르기 때문에 주의해야 하는 표현입니다. 오늘은 각 표현이 지닌 의미와 올바른 표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올바른 표현은?
아니오 ⭕
아니요 ⭕
두 표현 모두 표준어입니다. 그러나 상황에 따라 아래와 같이 써야 바릅니다.
아니요, 전 안 먹을래요. ⭕
아니오, 전 안 먹을래요. ❌
경의 잘못이 아니오 ⭕
경의 잘못이 아니요 ❌
한 글자 차이인데 왜 이렇게 상황에 따라 다른 것일까요?
이것은 다음과 같이 각 표현의 의미를 살펴보면 됩니다.
아니-요
「감탄사」 윗사람이 묻는 말에 부정하여 대답할 때 쓰는 말.
[출처: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
아니-오 ‘아니오’는 ‘이것은 책이 아니오.’, ‘나는 홍길동이 아니오.’와 같이 한 문장의 서술어로만 쓴다. “다음 물음에 ‘예’, ‘아니요’로 답하시오.”와 같이 ‘예’에 상대되는 말은 ‘아니요’이다. |
즉, 평상시에 자주 쓰게 될 말은 "아니요"가 맞습니다. 사극 등, '-하오'체로 말해야 하는 특수한 상황에서만 '아니오'가 맞습니다.
외우는 방법
질문에 부정할 때 쓰는 표현, 즉 오늘날 대부분의 사람이 평소에 써야 할 표현은 "아니요" 입니다. "ㅗ"와 "ㅛ" 의 모음 하나 차이로 의미가 달라지는데 어떻게 암기해 두면 좋을까요?
바로, 준말을 떠올리면 됩니다! 즉, "아니요"의 준말은 "아뇨"임을 떠올리는 겁니다.
"네가 그랬지?"라는 질문에 부정할 때 "아노"라고 대답할 사람은 없겠지요? 누구나 "아뇨"라고 대답할 겁니다. "아뇨"라는 준말에 "ㅛ"받침이 있으므로 "아니요"라는 원 표현은 쉽게 떠올릴 수 있는 것입니다.
또한 "아니오"는 문장의 맨 끝에 붙게 됩니다. "-오"가 종결어미이기 때문입니다.
[예문]
- 창을 닫으시겠습니까?
- 예 / 아니요
아니요, 제가 안 그랬어요!
아니요 전 괜찮아요. 감사합니다.
나는 범인이 아니오.
낭자, 일부러 그런 게 아니오. 미안하오.
[아니오 / 아니요 구분 퀴즈]
( 아니오 / 아니요 )
같이 보면 좋은 글
[띄어쓰기] 할수 있다 VS 할 수 있다 VS 할 수있다
'할수있다' 어떻게 띄어 쓰나요? 한글은 쉽지만, 한국어는 절대 쉽지 않습니다. 특히 띄어쓰기를 올바르게 하지 않으면 의미 전달에 문제가 생기기도 합니다. 오늘은 '할수있다'의 올바른 띄어쓰
nari.titirang.com
[맞춤법] 어의없다 VS 어이없다
어의없다 / 어이없다, 어느 것이 맞는 표현일까요? 어의없다 혹은 어이없다. 일상에서 자주 쓰는 표현입니다. 다음과 같은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일이 너무 뜻밖이어서 기가 막히는 듯하다." [
nari.titirang.com
[맞춤법] 단출하다 VS 단촐하다
단출 / 단촐, 어느 것이 맞는 표현일까요? 단출하다, 혹은 단촐하다. 일상에서 자주 쓰는 표현입니다. 다음과 같은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식구나 구성원이 많지 않아 홀가분하다." "일이나 차림
nari.titirang.com
'우리말 우리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맞춤법] 별의별 VS 별에별 (0) | 2022.12.29 |
---|---|
[띄어쓰기] 할까봐 VS 할까 봐, 해보다 VS 해 보다 (0) | 2022.12.09 |
[맞춤법] 어의없다 VS 어이없다 (0) | 2022.12.06 |
[띄어쓰기] 더이상 VS 더 이상 (0) | 2022.11.28 |
[띄어쓰기] 할지말지 VS 할지 말지 VS 할 지 말 지 (0) | 2022.11.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