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국어9 [맞춤법] 몇일 VS 며칠 몇일 / 며칠, 어느 것이 맞는 표현일까요? "오늘 몇일 / 며칠이야?" 날짜를 물을 때 쓰는 말인 몇일/며칠. 맞춤법에 맞게 쓰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먼저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그달의 몇째 되는 날. 출처: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올바른 표현은? 며칠⭕ 몇일❌ 올바른 표현은 바로, '며칠'입니다. "오늘 몇일 / 며칠이야?" 그럼 '몇일'은 없는 말인가요? 네. 없는 말입니다. 국립국어원의 답변을 살펴봅시다. [답변] 맞춤법 답변자 온라인 가나다 답변일 2021. 11. 1. 안녕하십니까? '며칠'로 표기하는 것이 바르며 '몇 일'로 표기하는 경우는 없습니다. '몇 일'이라고 하면 [며딜]로 소리가 나야 하는데 실제 발음은 [며칠]이라서 '몇일'로 적으면 표준어 [며칠]을 나타낼 수 없습니다... 2023. 2. 28. [맞춤법] 어떻게 VS 어떻해 VS 어떡해 어떻게 / 어떻해 / 어떡해, 어느 것이 맞는 표현일까요? "큰일 났다. 어떻게 / 어떻해 하면 좋지?"와 같은 표현에서, 어떤 것이 맞춤법에 맞는 표현일까요? 그리고 "어떻해 / 어떡해. 큰일 났어."에서는요? 올바른 표현은? 어떻게 ⭕ 어떻해 ❌ 어떡해 ⭕ 올바른 표현은 바로 각각 '어떻게'와 '어떡해'입니다. 어느 경우든 '어떻해'는 존재하지 않으며 틀린 표현입니다. "큰일 났다. 어떻게 / 어떻해 하면 좋지?" "어떻해 / 어떡해. 큰일 났어." '어떻게'는 형용사 '어떻다'의 부사형입니다. '어떻다'는 본말 '어떠하다'의 변형입니다.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을 확인해 봅시다. 어떻다 발음[어떠타] 「형용사」 의견, 성질, 형편, 상태 따위가 어찌 되어 있다. ≒약하하다, 여하하다, 하여하다. 요.. 2023. 2. 27. [맞춤법] 로서 VS 로써 | 상황에 맞는 사용법 완벽정리(연습문제 포함!) 로서 / 로써, 어느 상황에 어느 표현을 써야 할까요? "대한민국 (국민으로서/국민으로써) 한 말씀해 주시죠.""(오늘로서/오늘로써) 전 회사 그만두겠습니다." 분명 '로서'와 '로써' 둘 다 있는 표현이고, 상황에 맞는 사용법이 제각기 다른 것으로 기억합니다. 그러나 막상 글로 써서 표현하려니 무엇이 맞는 것인지 헛갈리고 자신이 없습니다. 오늘 이 글을 통해 알아보고 이 글의 맨 아래에서 연습문제를 통해 점검해 봅시다. 올바른 표현은? 올바른 표현은 바로 다음과 같습니다. "대한민국 (국민으로서/국민으로써) 한 말씀해 주시죠." "(오늘로서/오늘로써) 전 회사 그만두겠습니다."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을 확인해 봅시다. 로서 「조사」로써「조사」((받침 없는 체언이나 ‘ㄹ’ 받침으로 끝나는 체언 뒤에.. 2023. 1. 29. [맞춤법] 왠만하면 VS 웬만하면(연습문제 포함!) 왠만하면 / 웬만하면, 어느 것이 맞는 표현일까요?"왠만하면 / 웬만하면 네가 좀 해."와 같이, 일상에서 자주 쓰는 표현인데 글로 적으려니 비슷한 소리가 나는 두 말 중 어떤 말을 써야 하는지 맞춤법이 헛갈립니다.다음과 같은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정도나 형편이 표준에 가깝거나 그보다 약간 낫다.혹은허용되는 범위에서 크게 벗어나지 아니한 상태에 있다. [출처: 표준국어대사전]쉽게 말해 '보통 언저리'인 정도를 뜻하는 말이지요. 올바른 표현은? 웬만하면 ⭕왠만하면 ❌ 올바른 표현은 바로, '웬만하면 '입니다. '왠만하면'은 존재하지 않으며 틀린 표현입니다. "왠만하면 / 웬만하면 네가 좀 해." '웬만하면'은 '웬만하다'라는 말을 활용한 말입니다. '웬만하다'의 본말은 '우연만 하다'인데요,.. 2023. 1. 19. [맞춤법] 거에요 VS 거예요 거에요 / 거예요, 어느 것이 맞는 표현일까요?"저 이제 그만 둘 거에요 / 거예요." '-할 것이다'를 존댓말로 할 때 쓰는 표현입니다. 카카오톡으로 채팅할 때에도 많이 쓰게 되는데요, 이 표현을 글로 쓸 때 잘못된 표현을 쓰는 경우가 굉장히 많습니다. 올바른 표현은? 거예요⭕거에요❌ 올바른 표현은 바로, '거예요'입니다. "저 이제 그만 둘 거에요 / 거예요." 그럼 '거에요'라는 말은 없나요?네. 없습니다. '거예요'라는 말의 구성을 살펴 봅시다. 거예요 = '거' +'이-' + '-에요' = '거+이에요' 즉, '이에'가 '예'로 줄어든 것입니다. 그러니 '거에요'라는 표현은 '이-'를 빼뜨리고 말하는 것과 다름 없으므로 틀린 표현인 것입니다. .. 2023. 1. 8. [맞춤법] 왠지 VS 웬지 왠지 / 웬지, 어느 것이 맞는 표현일까요? "왠지 / 웬지 오늘은 삼겹살이 먹고 싶은 걸." 말로 할 때에는 정말 자주 사용하는데, 막상 글로 옮기려니 헛갈립니다. 많은 사람들이 잘못 알고 사용하는 표현이기도 합니다. 올바른 표현을 알아봅시다.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왜 그런지 모르게. 또는 뚜렷한 이유도 없이. 출처: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올바른 표현은? 왠지⭕ 웬지❌ 올바른 표현은 바로, '왠지'입니다. 동의어로는 '왜인지'가 있습니다. 유의어는 '어쩐지'입니다. '왠지'는 '왜인지'를 줄여 쓴 말이며 둘 다 표준어로 삼습니다. "왠지 / 웬지 오늘은 삼겹살이 먹고 싶은 걸." 그럼 '웬'은 언제 사용하나요? 관형사 '웬'은 다음과 같이 사용합니다. 웬 「관형사」 「1」 어찌 된. 웬 영문인지.. 2023. 1. 3. [맞춤법] 새삼 VS 세삼 새삼 / 세삼, 어느 것이 맞는 표현일까요? 부사어 새삼 혹은 세삼. 일상에서 자주 쓰는 표현입니다. 다음과 같은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전의 느낌이나 감정이 다시금 새롭게. 혹은 하지 않던 일을 새로 하여 갑작스러운 느낌이 들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올바른 표현은? 새삼⭕ 세삼❌ 올바른 표현은 바로, '새삼'입니다. 동의어로는 '새삼스레'가 있습니다. 입니다. '새삼'와 '새삼스레' 둘 다 표준어로 삼습니다. 외우는 방법 간단합니다. 사실 '세삼'도 표준어로서 있는 단어이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생겼다고 합니다. [출처: 네이버 카페 생태자원보전단 전국연합] 또 한 가지 방법은.. 새삼이라는 말의 뜻을 생각해보면 됩니다. 부사어 '새삼'에는 '새롭다'라는 의미가 있습니다. 그러니 같은 '새'로 시.. 2022. 12. 30. [띄어쓰기] 할까봐 VS 할까 봐, 해보다 VS 해 보다 "할까봐" 어떻게 띄어 쓰나요? "실패(할까봐 / 할까 봐) 걱정 돼." 와 같이, "-ㄹ까봐"는 띄어쓰기를 어떻게 해야할까요? 일상 생활에서 자주 사용하는 표현인데 막상 글로 적으려니 띄어쓰기가 헛갈립니다. 올바른 표현은? 할까 봐 ⭕ 할까봐 ❌ 올바른 표현은 바로, '할까 봐'입니다. "실패(할까봐 / 할까 봐) 걱정 돼." 와 같이 사용합니다. "봐"는 보조 형용사 "보다"의 변형인 "보아"의 준말입니다. 보조형용사는 띄어쓰기 규칙에 따라 앞말과 띄어 씁니다. 보조형용사 1. ((동사나 형용사, ‘이다’ 뒤에서 ‘-은가/는가/나 보다’ 구성으로 쓰여)) 앞말이 뜻하는 행동이나 상태를 추측하거나 어렴풋이 인식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말. 식구들이 모두 집에 돌아왔나 보다. 2. ((동사 뒤에서 ‘-을까 .. 2022. 12. 9.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