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국립국어원4

[띄어쓰기] 할까봐 VS 할까 봐, 해보다 VS 해 보다 "할까봐" 어떻게 띄어 쓰나요? "실패(할까봐 / 할까 봐) 걱정 돼." 와 같이, "-ㄹ까봐"는 띄어쓰기를 어떻게 해야할까요? 일상 생활에서 자주 사용하는 표현인데 막상 글로 적으려니 띄어쓰기가 헛갈립니다. 올바른 표현은? 할까 봐 ⭕ 할까봐 ❌ 올바른 표현은 바로, '할까 봐'입니다. "실패(할까봐 / 할까 봐) 걱정 돼." 와 같이 사용합니다. "봐"는 보조 형용사 "보다"의 변형인 "보아"의 준말입니다. 보조형용사는 띄어쓰기 규칙에 따라 앞말과 띄어 씁니다. 보조형용사 1. ((동사나 형용사, ‘이다’ 뒤에서 ‘-은가/는가/나 보다’ 구성으로 쓰여)) 앞말이 뜻하는 행동이나 상태를 추측하거나 어렴풋이 인식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말. 식구들이 모두 집에 돌아왔나 보다. 2. ((동사 뒤에서 ‘-을까 .. 2022. 12. 9.
[맞춤법] 아니오 VS 아니요(연습문제 포함!) 아니오 / 아니요, 어느 것이 맞는 표현일까요?아니오 혹은 아니요. 두 표현 모두 맞춤법에 어긋나지 않은 표현입니다. '오'와 '요' 한 글자 차이로 용례가 다르기 때문에 주의해야 하는 표현입니다. 오늘은 각 표현이 지닌 의미와 올바른 표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올바른 표현은? 아니오 ⭕아니요 ⭕ 두 표현 모두 표준어입니다. 그러나 상황에 따라 아래와 같이 써야 바릅니다.아니요, 전 안 먹을래요. ⭕아니오, 전 안 먹을래요. ❌ 경의 잘못이 아니오 ⭕경의 잘못이 아니요 ❌ 한 글자 차이인데 왜 이렇게 상황에 따라 다른 것일까요?이것은 다음과 같이 각 표현의 의미를 살펴보면 됩니다. 아니-요「감탄사」윗사람이 묻는 말에 부정하여 대답할 때 쓰는 말.“이놈, 네가 유리창을 .. 2022. 12. 6.
[띄어쓰기] 할지말지 VS 할지 말지 VS 할 지 말 지 '할지말지' 어떻게 띄어 쓰나요? 어떤 행동을 할 것인지 아직 결정하지 못했을 때 자주 사용하는 표현입니다. 말로 할 때는 문제가 되지 않지만 글로 이 표현을 쓰려면 띄어쓰기가 헛갈립니다. 올바른 표현은? 할지 말지 ⭕ 할 지 말 지❌ 바로, '할지 말지'와 같이 띄어 써야 합니다. 어미 '-ㄹ지'는 앞말에 붙여 써야 합니다. -ㄹ지 [어미] I. (‘이다’의 어간, 받침 없는 용언의 어간, ‘ㄹ’ 받침인 용언의 어간 또는 어미 ‘-으시-’ 뒤에 붙어)) 추측에 대한 막연한 의문이 있는 채로 그것을 뒤 절의 사실이나 판단과 관련시키는 데 쓰는 연결 어미. 무엇부터 해야 할지 덤벙거리다 시간만 보냈어. II. (‘이다’의 어간, 받침 없는 용언의 어간, ‘ㄹ’ 받침인 용언의 어간 또는 어미 ‘-으시-’ 뒤.. 2022. 11. 23.
[맞춤법] 단출하다 VS 단촐하다 단출 / 단촐, 어느 것이 맞는 표현일까요? 단출하다, 혹은 단촐하다. 일상에서 자주 쓰는 표현입니다. 다음과 같은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식구나 구성원이 많지 않아 홀가분하다." "일이나 차림차림이 간편하다."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어휘, 구성단위, 고유어 여부, 원어, 어원, 주표제어, 부표제어, 발음, 활용, 검색용 이형태, 품사, 공통 문형, 의미 문형, 공통 문법, 의미 문법, 뜻풀이, 용례, 범주, 전문 분야, 속담, 관용구, 대역 stdict.korean.go.kr 올바른 표현은? 단출하다 ⭕ 단촐하다 ❌ 올바른 표현은 바로, '단출하다'입니다. "살림이 단출하다"와 같이 사용합니다. 외우는 방법 단출하다, 혹은 단촐하다. 모음 "ㅗ"와 "ㅜ"하나 차이이기 때문.. 2022. 11. 2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