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말 우리글

[맞춤법] 설거지 VS 설겆이

by ( •̀ ω •́ )✧... 2025. 3. 7.
반응형

설거지 / 설겆이, 어느 것이 맞는 표현일까요?

"오늘은 네가 설거지 / 설겆이 좀 해!"

일상에서 정말 자주 사용하는 단어이지만 막상 글로 쓰려면 멈칫, 망설이게 되는 단어입니다. 무엇이 맞춤법에 맞을까요?

 

 

 

 

 

먹고 난 뒤의 그릇을 씻어 정리하는 일.

출처: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올바른 표현은?

 

설거지⭕

설겆이❌

 

올바른 표현은 바로, '설거지'입니다.

 

"오늘은 네가 설거지 / 설겆이 좀 해!"

 

 

 

 

그럼 '설겆이'는 틀린 표현인가요?

 

네. 지금은 틀린 표현입니다.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 나와 있는 설명을 살펴봅시다.

 
‘설겆이’는 비표준어이고 ‘설거지’가 표준어이다. 이는 사어(死語)가 되어 쓰이지 않게 된 단어는 고어로 처리하고, 현재 널리 사용되는 단어를 표준어로 삼는다는 규정(표준어 사정 원칙 제20항)에 따라 ‘설거지하다’를 표준어로 삼고, ‘설겆다’는 비표준어로 삼았기 때문이다.

[출처: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한 걸음 더']

 

즉, '설겆이'가 예전에는 표준어였지만 1989년 한글맞춤법이 개정되면서 비표준어가 되었습니다.

 

전에는 맞는 표현이었지만 이제는 맞지 않는 표현이 된 것이지요.

 

1989년 이전에 말과 글을 배우신 분들 중에서는 아직 '설겆이'가 익숙해, 이제는 사어가 된 이 표현을 계속해서 사용하시기도 하고 그래서 많은 분들이 '설거지'를 쓸 때마다 헛갈리는 것입니다.

 

한국어는 표준국어대사전에 등재된 표현을 표준어로 보기 때문에 올바른 맞춤법인 '설거지'를 사용하여야 하겠습니다.

 

 

 

「명사」
「1」 먹고 난 뒤의 그릇을 씻어 정리하는 일. ≒뒷설거지.

 ● 살림살이가 규모 있는 집일수록 잔치 설거지가 매서운 법이다.
 ● 설거지를 끝내고 영선이 손을 닦으며 방에 들어왔을 때 사방에서 어둠이 밀려왔다. ≪박경리, 토지≫

「2」 비가 오려고 하거나 올 때, 비에 맞으면 안 되는 물건을 치우거나 덮는 일. =비설거지.


[출처: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어원 

[홍윤표(洪允杓) 국립국어연구원님이 작성하신 '설거지'의 어원에서 발췌 및 요약하였습니다.]

  • 15세기 국어에는 '수습하다, 정리하다'라는 뜻을 가진 '설다'라는 동사가 있었다.
  • 동시대에, '설다'와 '겆다'가 통합된 '설엊다'라는 동사가 현대의 '설거지하다'와 동등한 의미로 사용되었다.
  • 18세기에 '설다'와 '설엊다'라는 동사는 사라지게 된다.
  • 19세기에는 이의 명사형인 '설거지하다'가 등장하였다.
    ᄀ. 설거지(滌器) <국한회어(1895년)>
    ᄂ. 점순 어멈이 밥상을 보면 양천집은 설거지를 하고 <계집하인(1925년)>

 

'설겆이'에서 '설거지'로 바뀐 이유는 무엇인가요?

'설겆이'라는 단어가 표준어가 되려면 '설겆-'의 활용형, 즉 '설겆다' 등이 표준어로 사용되고 있어야 합니다.

 

그러나 표준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설겆-'의 활용형을 사용하고 있지 않습니다. (전라도에는 아직 '설겆다'라는 표현이 남아있다고 하지만, 방언이므로 표준어의 사용 근거가 될 수 없습니다.)

 

즉, '설겆-'이 현대에는 표준어로 인정되지 않아 단어 형성의 근거가 될 수 없으므로 '설겆이'가 고어(사어)가 된 것입니다.

 

대신 교양 있는 사람들이 두루 쓰는 현대 서울말(표준어의 기준입니다)인 '설거지'와 동사 '설거지하다'가 표준어로 등재되었습니다.

 

 

 

외우는 방법

'거지가 설거지하는' 이미지를 떠올려 봅시다.

 

설거지  

설겆이 

 

 

거지가 설거지한다!

 

 

 

 

[예문]

오늘 설거지 했어?

내가 설거지 다 했어.

 

 

 

같이 보면 좋은 글

 

2025.04.20 - [우리말 우리글] - [띄어쓰기] 그중 VS 그 중 (연습문제 포함!)

2023.02.27 - [우리말 우리글] - [맞춤법] 어떻게 VS 어떻해 VS 어떡해

2022.12.30 - [우리말 우리글] - [맞춤법] 새삼 VS 세삼

2022.11.23 - [우리말 우리글] - [맞춤법] 단출하다 VS 단촐하다

2022.11.22 - [우리말 우리글] - [띄어쓰기] 할수 있다 VS 할 수 있다 VS 할 수있다

2023.02.27 - [우리말 우리글] - [맞춤법] 어떻게 VS 어떻해 VS 어떡해

2023.01.29 - [우리말 우리글] - [맞춤법] 로서 VS 로써 | 상황에 맞는 사용법 완벽정리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