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우리글

[맞춤법] 들어나다 VS 드러나다

( •̀ ω •́ )✧... 2023. 3. 15. 03:02
반응형

들어나다 / 드러나다, 어느 것이 맞는 표현일까요?

"다행히 큰 문제는 아닌 것으로 드러났다 / 들어났다."와 같이, 알려지지 않았던 사실 등이 알려지게 되었을 때 쓰는 표현인 "들어나다/드러나다". 글로 쓸 때는 맞춤법을 어떻게 따라야 할까요?

 

 

올바른 표현은?

 

드러나다 ⭕

들어나다❌


 

 

 

올바른 표현은 바로 '드러나다'입니다.  '들어나다'는 존재하지 않으며 틀린 표현입니다.

 

"다행히 큰 문제는 아닌 것으로 드러났다 / 들어났다."

 

'드러나다'는 '들-'에 연결 어미 '-어'가 붙은 '들어', 여기에 '나-'가 결합하여 만들어진 것으로, 본뜻에서 멀어진 단어로 원형을 밝혀 적지 않는 경우입니다.  즉, 한 단어로 봅니다. 한 단어일 때에는 띄어 쓰지 않는 것이 원칙입니다. 표준국어대사전에 한 단어로 등재되어 있습니다.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을 확인해 봅시다.

 

러-나다
  • 발음[드러나다]
  • 활용드러나[드러나], 드러나니[드러나니]
 
「동사」
「1」 가려 있거나 보이지 않던 것이 보이게 되다.
  • 구름이 걷히자 산봉우리가 드러났다.
  • 썰물 때는 드넓은 갯벌이 드러난다.
  • 여름옷이지만 그 옷은 어깨가 너무 드러난다.
「2」 알려지지 않은 사실이 널리 밝혀지다.
  • 진실은 반드시 드러난다.
  • 경찰은 누구든 혐의가 드러날 경우 엄중 처벌하겠다고 밝혔다.
  • 사건의 전모는 드러났지만 아직 진상은 밝혀지지 않고 있다.요즈음 어떻게 지내십니까
「3」 겉에 나타나 있거나 눈에 띄다.

  • 떳떳지 못한 소실의 집답게 마을에서 떨어진 외딴 집일망정 알뜰히 가꾸고 정을 쏟은 티가 고스란히 드러나 보이는 집이었다.≪박완서, 미망≫
  • 우리 사회의 성숙은 어떤 사회의 겉으로 드러나는 현상에만 현혹되지는 않을 만큼 된다고 믿고 싶다.≪이문열, 시대와의 불화≫
  • 장성댁은 희뿌옇게 문살이 드러나는 마포 쪽문을 바라다보고 앉은 채 꾀죄죄한 눈물기를 달은 풀죽은 눈을 껌벅껌벅댄다.≪천승세, 낙월도≫

「4」 ((주로 ‘드러나게’ 꼴로 쓰여)) 다른 것보다 두드러져 보이다.


  • 동영의 물음이 신상에 미치자 그녀의 얼굴에는 드러나게 경계의 표정이 어렸다. 그 바람에 한동안 숟갈질만 하던 동영은 잠시 뒤에 화제를 바꾸었다.≪이문열, 영웅시대≫
  • 작업장의 사기는 급속도로 저하되어 갔다. 조 원장을 대하는 원생들의 눈빛이 드러나게 달라지기 시작했다.≪이청준, 당신들의 천국≫

 

외우는 방법

예문으로 외워 봅시다. 인상적일 수록 외우기 쉽겠지요?

'드디어 드러운 네 본심이 드러났구나!'

 

물론 표준어는 '더러운'이지만, '드럽다'  경상, 경기, 강원, 충남 사투리이기도 합니다. 저도 많이 쓰는 말이네요.

Greedy_man

 

 

같이 보면 좋은 글

2023.02.28 - [우리말 우리글] - [맞춤법] 몇일 VS 며칠

2023.02.27 - [우리말 우리글] - [맞춤법] 어떻게 VS 어떻해 VS 어떡해

2023.01.08 - [우리말 우리글] - [맞춤법] 거에요 VS 거예요

2023.01.03 - [영어 궁금해요 | Fun English] - [영어 문법] 비인칭주어 it 총정리 (뜻, 종류, 예문, 퀴즈)

2023.01.05 - [영어 궁금해요 | Fun English] - [영어 표현] 커피 '샷 추가'는 영어로?

2022.11.23 - [우리말 우리글] - [띄어쓰기] 할지말지 VS 할지 말지 VS 할 지 말 지

2022.11.22 - [우리말 우리글] - [띄어쓰기] 할수 있다 VS 할 수 있다 VS 할 수있다

2022.12.06 - [우리말 우리글] - [맞춤법] 아니오 VS 아니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