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우리글
[띄어쓰기] 할지말지 VS 할지 말지 VS 할 지 말 지
( •̀ ω •́ )✧...
2022. 11. 23. 23:37
반응형
'할지말지' 어떻게 띄어 쓰나요?
어떤 행동을 할 것인지 아직 결정하지 못했을 때 자주 사용하는 표현입니다. 말로 할 때는 문제가 되지 않지만 글로 이 표현을 쓰려면 띄어쓰기가 헛갈립니다.
올바른 표현은?
할지 말지 ⭕
할 지 말 지❌
바로, '할지 말지'와 같이 띄어 써야 합니다.
어미 '-ㄹ지'는 앞말에 붙여 써야 합니다.
-ㄹ지 [어미]
I. (‘이다’의 어간, 받침 없는 용언의 어간, ‘ㄹ’ 받침인 용언의 어간 또는 어미 ‘-으시-’ 뒤에 붙어))
II. (‘이다’의 어간, 받침 없는 용언의 어간, ‘ㄹ’ 받침인 용언의 어간 또는 어미 ‘-으시-’ 뒤에 붙어))
|
[예문]
나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어.
갈지 말지 아직 결정하지 못했다.
네가 그걸 먹을지 안 먹을지 내가 어떻게 아니?
비가 올지 안 올지 알 수가 있어야지 원.
[퀴즈]
1. 언제 (말할지 / 말할 지) 결정했어?
2. 집을 (나온지 / 나온 지) 3개월이 다 되어 간다.
3. 이번 경기에서 이길 수 (있을지 / 있을 지) 궁금하다.
[퀴즈 정답] (더 보기 클릭)
더보기
1. 언제 (말할지 / 말할 지) 결정했어?
2. 집을 (나온지 / 나온 지) 3개월이 다 되어 간다.
3. 이번 경기에서 이길 수 (있을지 / 있을 지) 궁금하다.
해설: 2번의 "지"는 의존명사로, 어떤 일이 있었던 때로부터 지금까지의 동안을 나타냅니다.
의문: 붙여 쓴다
기간: 띄어 쓴다
같이 보면 좋은 글
[띄어쓰기] 할수 있다 VS 할 수 있다 VS 할 수있다
'할수있다' 어떻게 띄어 쓰나요? 한글은 쉽지만, 한국어는 절대 쉽지 않습니다. 특히 띄어쓰기를 올바르게 하지 않으면 의미 전달에 문제가 생기기도 합니다. 오늘은 '할수있다'의 올바른 띄어쓰
nari.titirang.com
반응형